“자유 vs 살인”…美 연방대법원 앞 ‘낙태권 전쟁’

소식 / 안내

“자유 vs 살인”…美 연방대법원 앞 ‘낙태권 전쟁’

“자유 vs 살인”…美 연방대법원 앞 ‘낙태권 전쟁’

20211203074841611.jpg

지난 1일 워싱턴DC 연방대법원 앞에서 낙태에 반대하는 활동가가 태아 모형을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사진제공]

지난 1일 워싱턴DC 연방대법원 청사 안팎에서는 여성의 낙태권을 놓고 치열한 공방이 펼쳐졌습니다.

이날 연방대법원은 임신 15주 이후 낙태를 대부분 금하는 미시시피주 법률을 놓고 구두변론을 열었습니다.

그러자 전국 각지에서 낙태를 지지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세력이 연방대법원 청사 앞에 몰려와 떠들썩한 시위를 벌인 것입니다.

미국에는 '로 대(對) 웨이드'로 불리는 1973년 연방대법원 판결로 여성의 낙태권이 확립돼 있습니다.

이 판결에 따라 미국에서는 태아가 자궁 밖에서 생존할 수 있는 임신 22∼24주 이전에는 낙태를 할 수 있도록 해 여성의 낙태권이 보장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런데 미시시피주가 22∼24주로 설정됐던 낙태 가능 기준을 15주로 좁히는 자체 법을 제정하자, 이에 대한 위헌 여부를 놓고 연방대법원에 소송이 제기됐습니다.

이날 변론에서 미시시피주 쪽에서는 "로 대 웨이드 시절보다 피임에 대한 접근이 쉬워졌다"고 강조했습니다.

피임이 보편화한 만큼 낙태 외 다양한 방법으로 원치 않은 임신을 막을 수 있고, 낙태 가능 기준을 15주로 줄여도 문제가 없다는 주장입니다.

미국 연방정부 쪽에서는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번복한 여파가 심각할 것이고 개인의 권리를 전례 없이 축소할 것이라고 맞섰습니다.

연방정부 측 변호인단은 "이렇게 많은 미국인에게 적용되는 아주 근본적 권리를 연방대법원이 폐지한 적이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날 관심은 보수 성향 대법관들의 입에 쏠렸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번복하겠다며 재임 시절 공석이 된 연방대법관 세 자리를 보수 성향 인사로 채워 넣었습니다.

이에 따라 9명의 연방대법관 사이 구도가 6대3의 보수 우위로 재편됐습니다.

이들 보수 성향 대법관들이 낙태권을 제한하거나 로 대 웨이드 판례를 뒤집는 쪽으로 기운 것 같았다는 게 현지 언론의 평가입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변론에서 보수 성향 대법관 6명 중 누구도 로 대 웨이드 판결을 옹호하는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면서 여성의 낙태권 보장이 중대한 갈림길에 섰다고 해석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도 변론 후 연방대법원이 미시시피주의 낙태제한법을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 같다고 평했습니다.

다만 보수 대법관 6명이 로 대 웨이드 판결을 전면 번복할지, 임신 15주까지로 낙태를 제한할지에는 입장이 갈리는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연방대법원 내 소수 세력이 된 진보 성향 대법관 3명은 반세기 동안 유지된 로 대 웨이드 판결이 뒤집히면 연방대법원이 명성을 치명타를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로 앤 웨이드 판결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며 진보 진영에 힘을 실었습니다.

민주당 일인자인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역시 연방대법원이 여성의 헌법적 권리를 보장할 책임 있다고 목소리를 보탰습니다.

미국에서는 낙태에 대한 입장이 진보와 보수를 가르는 중대 기준으로 돼 왔습니다.

그런 만큼 내년 6월께 나올 연방대법원의 최종 결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시위자들이 몰려온 것은 물론 미국 언론도 변론의 주요 내용을 실시간으로 보도하며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번 판결에 따라 로 앤 웨이드 판결이 번복된다면 최소 20개 주에서 대부분의 낙태가 불법이 된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연합뉴스>

Comments

번호 포토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2 “초등학교 내 동성애 언급 금지”… 플로리다 법안 시끌 한명덕 2022.03.14 5436
151 플로리다주서 임신 15주 이후 낙태금지법 통과 한명덕 2022.03.04 5315
150 성전환자 등 인정하는 ‘젠더의학’으로, 오진.약물 부작용 등 의료사고 우려 한명덕 2022.02.28 5935
149 펜실베니아 대학 트랜스젠더 식별 수영 선수 한명덕 2022.02.23 6165
148 동성애 조장 질로우 광고 당장 내려라 한명덕 2022.02.15 5548
147 윤석열 후보, 마이크 펜스 전 미 부통령 만나 한명덕 2022.02.13 4800
146 하와이, 헌혈합시다! 한명덕 2022.02.12 5655
145 올바로 아는 게 힘이다! 한명덕 2022.01.23 6736
144 여성가족부 폐비, 딱 한줄 쓴 윤석열! SNS 지금 난리났다! 한명덕 2022.01.09 5690
143 윤석열, 성소수자 차별금지법 묻자 "논란 많아 더 검토해야" 한명덕 2021.12.19 5578
열람중 “자유 vs 살인”…美 연방대법원 앞 ‘낙태권 전쟁’ 한명덕 2021.12.03 6712
141 트랜스젠더 정책에 반대했던 기독교 교사 정직 철회 한명덕 2021.11.24 7054
140 美 학부모, ‘부모 동의 없이 성 정체성 교육 지침’ 폐지 위해 교육구 고소 한명덕 2021.11.20 7558
139 75개 시민단체, “차별금지법 11번 좌절, 그만큼 국민이 반대 한명덕 2021.11.20 6503
138 "차별금지법" …대선 앞두고 뒷전 밀려 / SBS 한명덕 2021.11.15 6250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54 명
  • 오늘 방문자 2,159 명
  • 어제 방문자 3,321 명
  • 최대 방문자 3,665 명
  • 전체 방문자 861,948 명
  • 전체 게시물 802 개
  • 전체 댓글수 1 개
  • 전체 회원수 2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